본문 바로가기
전시 & 문화재

<조선의 목가구> 탁자, 문갑, 머릿장, 경상, 서안

by *Blue Note*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목공예품> 조선시대 사랑방 풍경

 

우리 문화재중에서 특히 목가구에는 실용성과 함께 예술성이 깃들어있다. 조선의 목가구는 우리 한옥의 좁은 실내와 낮은 천장을 고려하여 단순하고 작게 제작되었다. 목가구 제작은 기둥재로 면을 나누고 여기에 홈을 파서 판재를 끼워 넣는 짜임과 이음의 기법이 이용되었는데, 이는 계절에 따른 온습도의 변화로 인한 목재의 변형을 막기위한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짜임과 이음은 간결한 선과 명확한 면 분할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목가구의 필수적인 제작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탁자, 문갑, 머릿장, 경상, 서안등을 찬찬히 살펴보았는데, 나무가 가진 아름다움을 잘 살린 고아한 모습들에 마음을 빼앗겼다. 다만 거의 대부분의 유물들이 얼마 오래되지 않은 19세기의 것들이어서 조선조 초기나 고려시대의 목공예품들에 대한 갈증을 풀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조선의 목가구 1

삼층탁자, 조선 19C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의 목가구 2

문갑, 조선 19C 영어로는 document chest. 이름처럼 문서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대개 방의 뒤뜰로 난 창문 아래 놓았다고 한다. 따라서 창문을 가리지 않는 높이로 제작되었고 많은 면적을 차지하기 않도록 폭을 좁게 만들었다. 사랑이나 안방에서 모두 사용되었는데, 사랑에서 사용한 것이 보다 단순하고 장식을 절제하였다고 한다.

 

조선의 목가구 3

 

조선의 목가구 4

 

조선의 목가구 5

머릿장, 조선 19세기 머리맡에 두고 사용한다고 해서 머릿장이라고 불린다. 사랑방에서는 문서나 서책을 보관하는 용도로, 안방에서는 의복을 보관하고, 천판위에 이불을 쌓아두기도 하였다.

반응형

조선의 목가구 6

 

조선의 목가구 7

경상, 조선 19세기. 사찰에서 스님들이 사용한 책상이지만, 일반 사가에서도 서안대신 사용하였다. 천판의 양 끝이 살짝 들려 책이나 붓등이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조선의 목가구 8

 

조선의 목가구 9

 

조선의 목가구 10

서안, 조선 19세기글을 쓰거나 책을 읽을 때 사용한 가구이다. 책하나 펼 수 있을 정도의 작은 크기로 제작되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책을 읽을 때 정신을 집중할 수 있도록 서안의 장식을 최대한 절제하였다고 한다.

 

조선의 목가구 11

 

조선의 목가구 12

 

조선의 목가구 13

사랑방의 가구 배치도

 

조선시대의 목가구들 역시 우리의 다른 문화재들처럼 단순하고 단아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가령 목재 결합부위에 힘을 보강하고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 장석(裝錫)도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 나무의 질감을 강조하려는 의도로만 사용되었다. 호들갑스럽거나 뭔가를 과시하려는 일체의 시도를 배격하고 소박하면서도 편안한 느낌을 추구하는 한국적 미는 조선의 목가구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는 생각이다.

 

국립중앙박물관 방문하기 https://www.museum.go.kr/site/main/

 

관람 안내

국립중앙박물관,관람시간 월, 화, 목, 금, 일요일: 10:00 ~ 18:00 (입장 마감: 17:30) 수, 토요일: 10:00 ~ 21:00 (입장 마감: 20:30) 옥외 전시장(정원)은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휴

www.museum.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