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시 & 문화재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 보존과학, 우리문화재를 지키다.

by *Blue Note*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 우리 문화재 복원과 보존

 

묵혀두었던 사진들을 이제야 정리해서 포스팅하게 되었다. 그동안 개인적으로 바쁘기도 했고 여행도 다녀온 후 게으름도 피우느라 그렇게 되었다. 각설하고, 오늘 포스팅 내용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상설전시 이외에 기획전시나 특별전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는데 오늘 정리한 내용은 우리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과 보존 처리과정을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한 특별 전시에 관한 것이다. 아무래도 나같은 비전문가가 되지도 않은 설명을 덧붙히는 것이 의미가 없기에 (아니 매우 위험한 발생이기도 하기에), 많은 부분을 기획전에 설명된 내용 그대로 사진으로 찍어서 올리고자 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1

보존과학 : 우리 문화재를 지키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2

국립박물관 보존과학의 역사는 40여년이라고 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3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4

본 특별전시의 기획의도와 총 3부로 구성된 전시내용에 대한 간력한 설명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5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6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7

고대 문화재의 재료에 대한 분석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8

왼쪽부터 청자 넝쿨무늬 합, 백자 은구대접, 청자 은구대접자, 이들 문화재의 구연부에 부착된 금속테두리의 성분은 무엇일까...?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9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10

먼저 고려시대 청자 넝쿨무늬 합이다.설명을 보니 상하 합구에 부착된 금속 테두리의 성분이 일반적인 고려시대 은구대접과는 다르게은제에 금으로 도금을 한 것이라고 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11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12

다음은 백자 은구대접신안에서 출토된 원나라의 백자다.분석결과 구연부 금속테두리의 성분은 은이 아니라 주석이라고....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13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14

청자 은구대접고려시대 청자로 우아한 세련미가 압권이다 (국보 제 253호)구연부의 성분은 은이다. 검게 보이는 것은 부식때문이라고... 구연부에 은을두른 은구대접은 매우 희귀한 것이라고 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15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16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17

전시장 내부모습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18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19

분청사기 철화어문병 (물고기무늬 병)과 그 제작과정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20

분청사기 철화어문병에 사용된 철화기법에 대한 설명을 보자.'산화철(FeO), 혹은 제이산화철(Fe2O3)를 안료로 하여 붓으로 문양을 그리는 기법이다. 청자나 백자는 초벌구이후 바로 붓으로 직접 그리지만 분청사기는 주로 백색의 분장토를 바른후 철화안료로 그려야 발색이 된다. 그 위에 유약을 바르고 구워내면 안료의 농담, 유약의 두께, 굽는 온도등에 따라 적색, 갈색, 흑색등의 다양한 색으로 변한다.청화나 동화안료보다 구하기 쉽고 다루기도 어렵지 않아고려청자를 시작으로 분청사기와 조선백자에 이르기까지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21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22

고려청자 국화무늬병동화기법으로 제작하였다.국화무늬 가운데 붉은 색이 동화기법으로 발색된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23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24

청자 국화무늬 병의 제작과정처음 사진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의 순서로 제작한다.고려 특유의 상감 기법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25

국화무늬 병과 동화기법에 대한 설명구리 성분의 동화안료는 다루기가 매우 까다로와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고....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26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27

 

 

백자 청화 국죽문 병 (국화 대나무 무늬 병)예전에 복원한 구연부가 황변이 심하여 제거하고 다시 복원 채색하였다고 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28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29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30

 

백자 청화 국죽문 병 제작과정회회청이라는 청화안료를 사용하는 청화기법에 대한 설명도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31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32

달항아리17-18세기 조선의 아름다운 백자다.경기도 광주 분원 관요에서 주로 만들어졌다.백자대호라는 낯선 이름보다는 '달항아리'라는 이름이 정겹고 예술적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33

우리나라의 백자 태토는 화도를 좋게하는 성분이 부족하여 구울때 모양이 일그러지기 쉬워서 달항아리처럼 기형이 큰 자기를 제작할때는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따로 제작하여 이어붙혔다고 한다.이렇게 이어붙힌 자국, 살짝 이지러진 모양이 오히려 조선 달항아리의 독특한 아름다움이라는 생각...!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34

금동 관음보살 입상의 보존 과정이 동영상으로 잘 설명되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35

말탄사람 토기 (기마인물상 토기)의 보존과정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36

토우장식 항아리 보존과정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37

최치원의 진영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38

적외선 촬영을 하면 원래 그림에서 보이지 않던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39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40

X 선 투과로 확인된 좌우측 덧칠부분의 동자승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41

심희수 초상 보존 처리전과 처리후 모습처리과정, 제작당시 사용된 채색안료에 대한 분석등이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42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43

오래기댜려야 하고 좀 불편하다하더라도...박물관은 붐벼야 제 맛...!우리나라의 박물관은 아직도 너무 한산하다, ㅠㅠ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44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45

 

고려시대의 토기인 큰항아리파편으로부터 복원한 과정이 설명되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46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47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48

 

부처 (조선시대, 석불)편광현미경 관찰과 X선 회절분석으로 성분이 불석(zeolite)임을 확인하였다고 한다.90여개의 파편에 대한 세척, 접합, 결실부분의 복원, 색맞춤을 통해원형을 복원한 과정을 스크린으로 볼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49

국립 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최초의 현미경이제는 이 현미경도 세월을 두께를 뒤집어 쓴 유물이 된 것일까..?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50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51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52

문화재에 대한 실제 보존처리 과정을 볼 수 있도록 전시실내에 따로 공간을 마련하였다.현재 보존 처리하고 있는 문화재의 이름을 공개하는 배려도 돋보였다.보존과학을 한층 더 가깝게 느끼게 된 계기가 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53

문화재 보존가를 위한 윤리지침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회&#44; 보존과학 54

고 이상수의 강의노트 중에서...문화재 보존가의 열정과 사명감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기마인물형 토기(국보 제 91호), 금동관음보살 입상 (국보 127호), 감은사지 삼층석탑 사리장엄구(보물 제 366호), 나주 신촌리 금동관 (국보 제 295호), 백제 금동 대향로(국보 제 287호)등은 보존과학으로 새롭게 태어난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중 극히 일부다. 우리 문화재를 지키고 보존, 복원하는데 열정을 바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 전시였다. 감사한 마음을 넘어 사실 감동을 받았다. 소중한 우리의 문화재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 역시 우리 스스로가 지켜야할 우리의 자산이다...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

https://www.museum.go.kr/site/main/home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