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시 & 문화재

<호림박물관> 신림동 본관 : 고려 청자

by *Blue Note*

 

<서울 가볼만한 곳> 호림박물관 신림동 본관

 

호림박물관 신림 본관의 청자를 정리해보았다. 수장고에 있는 유물들 말고, 전시된 유물들만을 기준으로 본다면, 본관의 청자들은 신사동 분관의 청자에 비해 임팩은 조금 적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물론 순전히 문외한의 개인적인 생각이다. 사실 유물의 예술적 가치를 피상적으로 단순 비교한다는 것은 부질없고 무식한 짓이다. 하나 하나가 나름의 개성이 있고 고유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는 것이니까. 호림박물관 신림본관의 도자실에 가면 멋진 명품 청자들을 만나볼 수 있다.   

 

청자 죽순형 주자, 고려 12세기

고려 청자의 절정기인 12세기에 제작된 순청자다.

 

청자 상감 쌍어문 대접

여러개의 원권문안에 각 두마리씩의 물고기를 백상감하였다.

고려 13세기

 

청자상감 운학문 표형주자

13세기 상감청자의 전형적인 문양인 운학문

아름다우나, 기면을 거의 남김없이 시문했기에

여백이 없어 조금 답답한 느낌도 개인적으로 든다.

 

청자상감 운학문 주자

고려 12세기

확실히 13세기의 운학문에 비해서는 회화성이 강하다.

종속문으로 뇌문과 연판문을 시문하였다.

기형의 모양은 침형인데,

이름에는 빠져있다. (이유는 모르겠고...)

 

 

청자상감 국접문 병

어깨와 바닥부분에 여의두문을 종속문으로 두르고

국화와 나비를 주제문으로 시원하게 여백을 두고 시문하였다.

제작시기는 12-13세기

 

청자 상감 국화문 발

단아하고 세련되고...

기품이 넘치는 자태를 자꾸만 보고싶다.

고려 12세기

 

청자상감 국화봉황문 병

작고 정교한 국화를 상감하였다.

짧은 지식에 국화문은 상감이 아닌 인화가 아닐까 생각했으나

이름으로만 보면 상감기법이 맞는 듯 하다.

봉홤문은 어깨부분의 문양인 것 같은데,

봉황문에 익숙치 않아 그런지 잘 모르겠다.

국화문을 세로로 상감한 디자인이 인상적이고,

기형이 매우 유려하고 아름답다.

제작시기는 고려말인 14세기로 추정된다고...

 

청자상감 류학문 매병

고려 13세기

능형창 안에 버드나무와 새를 흑백 상감하였다.

이럴경우 대개 이름이 포류수금문인줄 알았는데

류학문인것을 보면 연못등이 표현되지 않아서인가보다.

 

청자상감 국화문 표형병

고려 14세기

세로로 시문된 국화문으로 인해

더욱 늘씬한 조형감을 느낄 수 있다.

 

청자상감 유로연죽문 표형주자

13세기의 고려청자이다.

이름에서 보듯 버드나무, 갈대, 연꽃, 대나무가

몸통의 원권문 안에 흑백 상감되어 있다.

사이사이에 모란과 여의두문, 운학문이 시문되어 있다.

호림 윤장섭 선생이 처음 소장한 유물이라고 한다.  

 

청자 철채상감 운학문 매병

고려 13세기

전체에 철화 안료를 바르고 구름과 학을 백상감하였다.

유홍준 교수의 말을 빌리면,

'학의 모습이 왠지 쓸쓸하고 처연해보여

장욱진 화백의 그림에 나오는 이미지와 비슷하다.'

내 생각엔 모양은 많이 다르지만 김환기 화백의 새와 이미지가 닮은 듯... 

 

 

요즘 도자기 공부에 푹 빠져있다. 하지만 아무래도 체계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아니고, 전문가에게 정기적인 교육을 받은 것도 아니어서 한계가 있다. 여기저기 박물관을 기웃거리고 관련 서적과 도록을 뒤져보면서 독학으로나마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고 있다. 특히 박물관 도슨트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하지만, 아예 모르는 것보다, 어설프게 아는 것이 더 위험하다는 생각을 늘 새기고 있다. 선무당이 사람 잡는 법이니까. 앞으로 한참동안은 도자기에 대해서 전문가들이 평해놓은 것을 많이 듣고 배워서 내공을 쌓는 것이 필요하다. 이론도 중요하지만, 많이 감상하고 느껴서 안목을 높히고 눈을 뜨는 것 또한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결국 발품을 팔아야 한다는 얘기.. 그런 점에서 호림박물관과 같은 좋은 교육장이 있다는 것은 감사한 일이다.

 

주소 : 서울 특별시 관악구 미성동 1707

전화 : 02-858-25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