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시 & 문화재

<호림박물관의 명품 백자> 상감백자, 음각백자, 떡메병

by *Blue Note*

가볼만한 박물관 : 호림박물관 신림본관

이번 포스팅은 백자다. 토기나 분청사기, 청자에 비해 호림박물관의 백자 컬렉션은 좀 떨어진다는 느낌이 있긴 하다. 하지만 그것은 호림의 백자 수준이 떨어져서라기 보다는 수장된 토기나 분청사기들이 수량도 많고 또 워낙 보물급 유물들이 많다 보니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것이다. 오늘 소개하는 호림박물관의 백자들은 그 자체로 독특하고 아름답다. 특히 상감 백자는 드물기도 하지만, 특유의 소박하고 기품있는 모습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백자 투각표문 돈

조선 16세기

박 (한자로 표)을 투각으로 표현하였다.

돈(墩)은 돈대 돈으로 걸상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돈은 주로 청자로 많이 만들어졌고

드물게 흑자로도 제작되었다. (아래 사진들 참조)

 

(위) 청자투각 연당초문 돈, 고려 12C

(아래) 흑자투각 연환문 돈, 조선 15C

 

백자 상감 모란문 병

조선 15 세기

청자 상감에 비해

단순한 절제미가 돋보인다.

 

백자상감 모란엽문 편병

조선 15C

 

백자상감 어문호, 조선 15C

특이한 기형,

멋진 디자인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백자음각연화문 편병

음각 기법의 백자는 정말 드문듯...

조선 15-16C

 

백자호, 조선18C

조선 후기에 등장하는

매우 드문 기형으로

떡메병이라고도 한다.

용도는 꽃을 꽂았던 화호로 추정된다.

청화가 시문되기도 하는데

이 유물은 아무런 장식이나 기교가 없다.

 

호림박물관 신사본관앞의 화분

돌로 된 유물은 이름이 무엇인지

뭣에 쓰는 물건인지 모르겠다.

그래도 아름다워서 촬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상감백자는 이름만으로만 보면 태토를 백자토로 사용했다는 것만 청자와 다를뿐 기법상으로는 상감을 시문했기에 상감 청자와 다를 것이 없다. 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실제와는 많이 다른 이야기이다. 아마추어인 내가 보기에도 상감 청자와 상감 백자는 너무나 다르다. 오히려 기법만 상감이라는 공통의 방식을 취했을 뿐, 그외 거의 모든 것이 다르다고 생각한다. 화려하고 정교하게 기면에 다소 과하게 (물론 소략하게 시문한 유물들도 있지만) 상감기법을 사용하는 고려 청자에 비해 15세기 경의 상감 백자의 무늬는 매우 간소하다. 청자에서 보는 운학문이나 보조문으로 사용되는 연판문 같은 장식은 거의 없이 풀이나 꽃등은 특징만 잡아 간략하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무늬들은 오히려 분청사기와 가깝다는 생각이다. 그래서 상감백자는 수수하고 검박한 아름다움이 있다. 볼수록 마음이 편안하다. 기면을 꽉 채운 도안화된 상감청자의 무늬와는 극명하게 대비되는 여유와 넉넉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호림 박물관의 상감 백자앞에 서면 오래도록 바라보게 되는 이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