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 미술관> 김기창 / 박내현
국립현대미술관 <근대를 수놓은 그림> 특별전에 대한 마지막 포스팅이다. 이번 포스팅은 단 두 작가, 운보 김기창과 박래현만 다루기로 한다. 김기창은 스승인 이당 김은호의 영향으로 사실성에 충실한 채색 수묵화를 그렸으나, 해방이후 동양화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며 점차 추상화로의 전환을 꾀한다. 오늘 소개하는 <모임>은 김기창의 초기 작품이다. 이 당시 그의 작품의 특성은 인물의 사실적 묘사가 매우 뛰어나다는 것이다. 우향 박래현 역시 동양화가로 여성 특유의 섬세함으로 감성적인 작품을 남겼다. <노점>은 가장 널리 알려진 그의 작품중 하나다. 김기창의 초기 대표작인 <모임>과 박래현의 <노점>, 이 두 작품을 보는 것만으로도 미술관을 찾아올 충분한 이유가 된다. 물론 이 날의 전시는 두 작가 이외에도 거장들의 작품으로 인해 넘치고 풍성했음은 말할 것도 없다.
국립현대미술관
모임
화선지에 수묵담채
김기창, 1943년
그림의 일부
전시실 맨 끝 벽에
박래현의 그림이
정면으로 보인다.
익히 눈에 익은 그림이지만
이렇게 마주대하고 보니
감동이 크다.
화선지에 수묵채색
박래현, 1956년
국립현대미술관 입구
김기창의 초기 대표작인 <모임>에는 방안에 둘러앉은 여인들이 등장한다. 가는 선과 중간적 느낌의 색조가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으나 그림 상단에 있는 아기의 색동옷, 그리고 아래쪽에 앉은 여인의 화려한 자주색 저고리는 보는 이의 시선을 집중시킴으로써 전체 화면에 생기를 부여하고 있다. 특히 인물들이 반원형으로 앉아서 한쪽을 향해 시선을 던지고 있는 구도로 인해 화면에서 운동감을 느낄 수 있다. 박래현의 <노점>은 한국전쟁 당시 남편인 김기창과 함께 군산에서 피난생활을 하고 있을 무렵에 그린 그림이다. 전쟁의 여파가 채 가시지 않은 힘들고 고된 시절의 시장풍경을 그리고 있어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골목 노점의 여인들의 모습과 그 뒤의 건물들이 모두 수직적으로 묘사되어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는데 이러한 수직성은 작품의 느낌을 더욱 역동적으로 보이게 만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