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림 박물관> 철화청자 특별전 : 철백화 청자
이번 호림 박물관의 특별전에는 철화청자를 주제로 다양한 유물들을 만날 수 있었지만, 특히 철백화 청자라는 다소 생경한 이름의 청자들을 알게 된 것이 나로서는 큰 수확이었다. 상감청자등에 표현된 용이나 새의 눈, 청자 연적등에서 포인트를 주기위해 동화 안료등을 이용해 퇴화점을 찍어 시문하는 경우는 종종 봤었지만, 아예 백토와 철사안료를 이용해서 흰색과 검은색의 그림을 표현하는 철백화 기법의 청자는 이번 전시에서 처음 보았다. 사실 이런 청자 시문 기법이 있다는 것조차 몰랐었다. 언뜻 보면 흑토와 백토로 상감한 청자와 아주 유사하지만, 자세히 보면 표면에 그렸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그림이어서 그런지 상감청자와는 다른 회화성을 느낄 수 있었다.
청자철백화 연당초문 주자
철백화라고는 하지만 주로 백화로 연당초문을 그렸다.
상감기법과 유사하나 다소 흐릿한 느낌이다.
모양은 금속제 주자를 모방하였다는 설명...
고려 12세기
청자 철백화 연화문 과형주자
일반적인 철화청자와 달리
강진, 부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급청자이다.
고려13세기
청자 철백화 모란문 주자
뚜껑과 어깨에 연판문을
몸통에는 모란을 철백화로 표현하였다.
상감에 비해 표현이 자유롭고 시원하다.
고려 12세기 말-13세기 초
청자철백화 국화문 주자
언뜻보면 상감과 아주 유사하다.
고려 12세기 말-13세기 초
청자철백화 연류수금문 칠각향로
고려시대에는 향로가 많이 제작되었지만
이 유물처럼 몸체가 칠각으로 되어있는 것은 드물다고 한다.
나팔꽃처럼 벌어진 전에 철백화로 당초문이 시문되었다.
고려13C
청자 철백화 화문화분
화문의 문양이 현대적이다.
고려13 세기
청자 철백화 국화문 병
아담한 기형, 도안화된 국화문이 인상적이다.
고려 13 세기
청자 철백화 국화문 병
안정된 몸체에 포인트로 국화꽃을 그려넣었다.
고려 13 세기
청자의 기법중에 철백화라는 것이 있었음을 처음 알게 되었다. 철백화 청자에서는 철화 청자와는 다르게 철사 안료가 주로 백화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백토로 그린 백화와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시문 되다보니 상감청자와 매우 유사한 것이 사실인데, 굳이 차이점을 찾자면 문양이 상감에 비해 덜 선명한 반면, 표현은 좀더 활달하고 자유스럽다는 인상을 받았다. 아무래도 순청자나 철화청자, 상감청자에 비해서는 숫자면에서도 드문 편으로 생각되는데, 이번 전시에서 아름다운 철백화 청자들을 많이 실견하게 되어 개인적으로는 큰 기쁨이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