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시 & 문화재

<호림박물관> 철화청자 특별전 : 음각, 상감기법과의 비교

by *Blue Note*

<서울 가볼만한 곳> 호림박물관 : 철화청자 특별전 

 

호림 박물관의 철화청자 특별전시는 지금까지 주로 상감기법으로만 소개되었던 고려 청자에 대해, 새로운 시각과 안목을 제시해준 뜻깊은 자리였다. 호림박물관의 도자기 컬렉션이 국내 최고 수준인 것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양이나 질에 있어서 이 정도인 줄은 몰랐다. 철화 안료로 그린 고려청자의 다양한 기형, 문양들은 하나하나 모두 독특한 개성들을 가지고 있어서 도자기 공부에 큰 도움이 되었을 뿐 아니라, 이제 막 안목을 키워나가고 있는 나로서는 눈호강도 제대로 한 셈이다. 특히 철화청자를 상감기법, 음각기법과 비교하여 설명한 기획력은 매우 돋보였다.

청자철화 선문 소호

이름처럼 철화로 세로 선을 그린

작은 항아리다.

고려 12세기

 

청자철화 국화문 유병

도안화된 국화무늬가 띄엄띄엄 시문되어 있다.

고려 13세기

 

청자첩화 철백화 도화문 도형 연적,

복숭아 모양의 연적에

꽃을 만들어 붙였다.

고려 12세기

 

 

청자상감 모란유국문 병, 12-13세기 (상)과

청자철화 유문병, 12세기 (하)

같은 버드나무 무늬에 대해

상감기법과 철화 기법을 비교해볼 수 있다.

 

 

 

청자음각 운학문 매병, 13세기 (상)

청자상감 운학문 매병, 12세기 (중)

청자철백화 운학문 매병, 13세기 (하)

 

 

청자상감 국화문병, 12-13세기 (상)

청자철백화 국화문 병, 13세기 (하)

 

 

 

청자 음각 국화문 화형 탁잔, 12-13세기 (상)

청자상감 국화문 화형 탁잔, 12-13세기 (중)

청자 철백화 국화문 화형 탁잔,  13세기 (하)

 

오늘 소개된 청자 중에 매병에 시문된 운학문은 도교적인 영향을 받은 고려청자의 대표 문양중 하나이다. 흔히 표현되는 상감기법 외에 음각, 철백화 기법을 사용한 운학문 매병을 비교해서 전시한 기획이 흥미로웠다. 상감에 비해 철백화 매병이 다소 거칠지만, 회화성에 있어서는 보다 자유로운 느낌을 받았다. 이런 느낌은 국화문 병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철백화 기법이 보다 활달하고 자유로운 멋을 자아낸다. 포스팅에 소개한 세종류의 국화문 화형탁잔의 경우, 음각기법에서는 은은함을 느낄 수 있고, 상감 기법은 과연 화려하고 정교하다. 철백화의 경우, 세련되고 정교해서 상감과 거의 차이를 느낄 수 없을 정도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유태와 문양이 다소 거친 것을 알 수 있다. 오늘 포스팅을 끝으로 이번 전시에 대한 내용들은 마무리하려고 한다. '철, 꽃으로 피어나다'라는 이름으로 훌륭한 전시를 기획해준 호림 박물관측에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