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시 & 문화재

<호림박물관 명품> 분청사기

by *Blue Note*

서울의 박물관 : 호림박물관 신림본관

분청사기는 고려말 청자가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등장하기 시작한다. 세련되고 우아한 청자에 비해 분청사기는 보다 자유롭고, 개방적이며 소탈한 특징을 가진다. 조선초까지 대략 이백여년의 세월동안 제작되다가 이후 백자에게 자리를 양보하게 된다. 자유로운 분청사기의 문양은 현대적인 감각으로 보아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뿐 아니라, 상감, 조화, 박지, 철화, 귀얄, 덤벙등 다양한 기법으로 제작되었기에 우리 도자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실로 막대하다고 하겠다. 호림박물관에는 기가 막힌 분청사기들이 즐비한데 오늘은 그 중에서 몇개의 명품만 뽑아서 포스팅하려고 한다.

분청사기 상감연어문 편병형 주자

이름이 상당히 길다.

연꽃과 물고기 무늬 (연어문)를

상감기법으로 새긴

양옆이 편평한 병모양 (편병) 의

주전자이다.

가히 명품이다....

조선시대, 15세기

 

분청사기 인화문 사이호

몸통에 귀가 네개 달린 (사이)

항아리 (호)이다.

뚜껑까지 잘 보존되어 있다.

귀가 네개 달린 것으로 보아

아마도 태항아리로

사용되지 않았을까 추측해본다.

조선시대 15C

 

분청사기 인화문 합

뚜껑부분에 인화 기법이 사용되었으나

주된 기법은 덤벙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조선 15세기

 

분청사기 상감봉황모란문 병

모란과 봉황의 모습이

대담하고 강렬하다.

너무나 인상적이어서

아찔할 지경이다.

조선 15세기

 

분청사기 덤벙문편병

단아한 모양과

그윽한 유백색이 포근한 느낌을 준다.

조신, 15세기

 

분청사기 덤벙문편병에 대한 박물관의 설명문을 그대로 옮겨본다. <분청사기에서는 보기 드물게 몸통이 바둑알 모양을 띠고 있고 편병이다. 주둥이와 굽은 몸통을 성형한 후 따로 만들어 붙였다. 백토를 두껍게 분장하여 마치 백자인 것처럼 보이는 것은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반에 분청사기가 백자로 이행하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분청사기 편병의 변천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박물관을 자주 찾는 이유는 이미 예전에 보았던 유물도 다시 보면 그 느낌이 다르고 감동도 다르기 때문이다. 오늘 소개한 분청사기중 일부는 아마도 예전 포스팅에서도 소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사람도 자주 만나야 그 사람의 내면을 더 이해하게 되듯이 명품도 발품을 팔아 자주 보고 느껴야 그 진가를 더욱 실감하게 된다고 믿는다. 오늘 뽑은 다섯점의 분청사기는 개인적으로 정말 좋아하는 것들이다. 이번에 또 보고오니 마음이 편안하고 뿌듯하다. 눈을 통해 마음속에 담았지만 직접 보는 것은 언제나 설레이는 법이니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