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김정희와 친구들
추사 김정희는 19세기 조선의 문예계를 상징하는 아이콘이다. 대중에게는 그저 추사체로만 알려진 서예가일 뿐이지만 사실 그의 진면목은 경학, 금석학, 고증학, 불교철학 등에서 두드러진다. 이십 대에 아버지를 따라 중국을 방문하게 된 것이 청의 학문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청나라 학자인 옹방강, 완원과 사제의 연을 맺고, 수많은 청의 문인, 사상가들과 교류하게 된 추사는 비단 문인 뿐 아니라 역관, 화원, 승려, 중인 등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하였다. 이번 국립 중양 박물관의 <김정희와 친구들>은 추사의 친구, 제자들의 글과 그림을 모아 마련한 전시다. 신분, 국적을 뛰어넘는 그들의 관계는 조선 후기 문화사의 중요한 한 장면이다. 이 전시는 2020년 손창근 선생의 <세한도> 기증을 기념한 <세한>과 연관하여 기획한 전시다. 도록, 인터넷등에서 수없이 보아온 세한도지만,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다는 것에 마음이 설레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세한도>에 대해서는 따로 지면을 빌어 포스팅하고자 한다.
매화 서옥도
조희룡, 19세기 중반
추사에게 시서화를 배운
조희룡은 중인 출신으로
특히 홍매화를 잘 그렸다.
매화서옥도
전기, 1849년
조희룡, 유재소, 유숙 등과 함께
벽오사의 멤버였던 전기...
간결한 필선,
흰색 점으로 표현한 매화꽃이
매우 인상적이다.
산수
추사의 수제자인
소치 허련의 작품이다.
김정희의 남종 문인화법을
그대로 받아들였다는 평가다.
청송도, 유재소, 19C
유재소는 중인 출신의 여향 화가로
김정희에게 서화를 지도받았다.
연경실
오세창, 1938년
전서로 쓴 연경실은
'경서를 연구하는 집'이라는 뜻이다.
종정문에 대한 해석
김정희, 19C 전반
금속에 새겨진 글을 종정문이라고 한다.
중앙 글은 중국 청동기인
세발 솥에 새겨진 글을
따라 쓴 30대의 추사 글씨다.
추사의 인장과 더불어
여러 사람의 인장이 함께 찍혀있다.
예서로 쓴 사언대련
섭지선, 19C
옹방강의 제자인 섭지선은
청나라 서예가로 추사와도 교류했다.
필획이 부드럽고
속이 가득 찬 글씨가 특징이다.
사용한 종이는 우리나라 종이라고..
글 내용을 풀어보면,
<큰 기쁨이 있고 언제나 좋은 일 있기를>
세한도
권돈인, 19C
추사의 평생지기 권돈인의 세한도는
추사의 세한도와 달리
물기가 있는 먹으로 그렸다.
유숙 (이형사산상)과
전기 (한북약고)의 합작품이다.
두 사람은 시사 모임인 벽오사의 멤버로
유배에서 돌아온 추사에게 그림을 배웠다.
1854년 이전
산수화
전기 & 유숙, 1854년 이전
난
유재소, 1854년 이전
스승인 추사의 불이선란도와
비슷한 분위기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