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화5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전기의 서화 석 점 조선전기의 서화 전은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기획한 소규모 전시다. 흔히 우리 서화의 황금기를 조선 후기, 18세기 전후로 보는데 큰 이견은 없다. 그에 비해 조선 전기의 서화들은 남아 있는 숫자가 절대적으로 적을 뿐 아니라 송나라, 원나라등 중국 서화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측면도 있다. 그러다보니 조선 전기의 서화들은 상대적으로 대중에게 알려진 것이 많지 않고 학문적으로도 많이 연구되지 못하였다고 한다. 이번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15-16세기 조선 전기의 서화를 모아서 전시한 것은 그래서 나같은 문외한에게도 반가운 일이었다. 인상 깊었던 서화 3점을 소개한다. 송하보월도, 이상좌, 15-16C 야매도, 혹은 월매도 달과 매화를 그린 어몽룡의 작품이다. 16세기 모견도 (어미개와 강아지) 이암, 1..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근대서화전 : 봄 새벽을 깨우다 근대서화전 우리 문화재에 대해 관심이 많아 나름 공부하고 있지만 서화에 대해서는 모르는 것이 참 많다. 그저 남들 아는만큼만 아는 얄팍한 지식과 안목을 갖추고 있을 뿐이다. 거칠게 이야기해서 우리 고서화의 황금기라고 하면 숙종대부터 영정조 시대에 이르는 이른바 문예부흥기에 해당되는 기간이 아닐까 생각된다. 공재 윤두서, 겸재 정선, 신윤복, 김호도, 그리고 심사정, 최북, 강세황등 기라성 같은 문인화가, 도화서 화원 출신의 화가들중 상당수가 이 시기에 배출되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그 이후 근대로 넘어오는 시기의 화가들은 대중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안중식, 이상범, 김수철, 김규진 정도가 그나마 낯익은 이름들일 것이다. 이번에 국립중앙 박물관에서 마련한 근대서화전은 근대 조선과 그 ..
국립중앙박물관 : 김수철, 김득신, 최북, 정선, 심사정 명품서화전 : 손세기 손재형 기증 명품 서화전 이번에 소개하는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으로 손세기 손재형 기증 명품 서화전이다. 이미 앞서서 김정희의 불이선란도를 중심으로 그의 글씨등을 선보인 일차 명품 서화전에 이은 두번째 기획전이다. 주로 18세기와 19세기에 활동했던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들을 모아 놓았는데, 전시 제목처럼 과연 하나같이 명품이다. 더우기 각 작품마다 감상 포인트를 자세하고 친절하게 해설해 놓아 큰 공부가 되었을 뿐 아니라, 그림 감상하는 재미를 느끼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김수철, 백합도, 19C중반. 간결한 구도, 세련된 시각성. 꽃잎과 꽃은 몇개의 선만으로 표현하고 줄기와 잎은 녹색 선과 점만으로 처리했다. 꽃잎을 칠한 흰색 호분이 부분적으로 검게 변색했다. 최북, 꿩, 18..
<서울대학교 박물관> 추사 김정희, 공재 윤두서, 관아재 조영석 고서화 서울대 박물관의 옛그림과 글씨들은 전시된 유물의 양이 많지는 않다. 하지만 꼼꼼히 들여다보면 유물 하나하나가 모두 나름의 개성과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관람하는 내내 아기자기한 즐거움을 느끼기에 부족함이 없다. 윤두서의 장남인 윤덕희의 희귀한 풍속화, 안평대군의 글씨, 초서로 흘려써 내려간 강감찬 장군의 오언시등은 특히 인상적이었다. 유희한묵, 근역서휘 수록 유희한묵이란 한묵(문한 필묵) 즉 글 짓고 쓰는 것을 즐긴다는 뜻... 숙종때의 문인화가 윤두서의 글씨다. 안평대군 이용, 봉지청 오세창이 엮은 서첩인 근역서휘에 수록되어 있다. 강감찬 (948-1031), 오언시 역시 근역서휘에 올라있다. 조영석(1686-1761), 까치, 오세창의 근역화휘에 수록되어 있다. 임희지(1765- ), ..
서울의 대학 박물관 : 고려대 박물관의 고서화들 고대 박물관 : 고미술 전시실의 그림들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대한 마지막 포스팅이다. 물론 앞으로도 이 멋진 대학 박물관을 종종 찾을 것이고 새롭게 전시되었거나 이전에 빠뜨린 유물이 있다면 다시 찾아가 보고 소개할 것이지만, 이번 방문에 대한 내용은 오늘 게시를 끝으로 일단 접고자 한다. 사실 처음으로 고대 박물관을 관람했는데, 상상 이상의 엄청난 유물들에 큰 충격을 받았다. 선사시대 유물에서 근현대 미술까지를 아우르는 유물과 작품들의 숫자에도 놀랐지만 유물 하나하나가 빛나는 예술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간직한 것들이어서 눈호강 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오늘 소개하는 유물들은 고서화인데, 이 또한 작자들의 면면이 요즘 말로 정말 짱이다. 정약용 매화병제도, 1813년 매화 쌍조도라고도 한다. 하피첩을 만들고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