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시 & 문화재

<장욱진 회고전> 국립현대미술관 : 가장 진지한 고백

by *Blue Note*

<장욱진 회고전> 국립현대미술관 : 가장 진지한 고백

한국 근현대 미술사에서 장욱진(1917-1990)은 김환기, 유영국, 박수근, 이중섭과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2세대 서양화가로 유화 700여 점, 수묵화 300여 점등 방대한 수의 작품을 남겼다. 하지만 그림의 소재는 까치, 나무, 해와 달, 검둥개등, 그의 말대로 '심플'했다. 그 단순하고 제한된 모티브만으로 다양한 매체와 장르를 넘나들었다는 것이 경이롭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 장욱진의 회고전 <가장 진지한 고백>은 규모나 기획에 있어서 화가 장욱진에게 바치는 진심어린 헌사라고 할 수 있다.  

장욱진 회고전 &lt;가장 진지한 고백&gt;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장욱진 회고전

<가장 진지한 고백>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

 

사찰, 1977

사찰, 1977

 

사찰, 1978

사찰, 1978

양주시립 장욱진 미술관 소장

 

절 나들이, 1982

일주문, 종루, 법당,

냇물위 돌다리를 가족이 건너고 있다.

 

팔상도, 1976

팔상도, 1976

 

문경 김룡사, 1978
마커펜으로 그린 스케치다.
부인 이순경 여사와 자주 찾았던 곳이라고 한다.

문경 김룡사, 1978

마커펜으로 그린 스케치다.

양주시립 장욱진 미술관 소장

부인 이순경 여사와 자주 찾았던 곳이라고 한다.

 

가족, 1979
앞쪽의 강아지도 가족일 것이다.

가족, 1979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이건희 컬렉션

그림 속 강아지도 가족이다.

 

무제, 1983

무제, 1983

 

가족, 1981

가족, 1981

뒷짐을 지고 부인을 곁눈질하는

화가의 모습이 익살스럽다.

인물을 이렇게 크게 그린 경우는

장욱진의 작품에선 매우 드물다.

 

심우도, 1979
선종화의 미학이 엿보인다.

심우도, 1979

Serching for the ox...

선종화의 미학이 엿보인다.

 

무제, 1979, 장욱진

무제, 1979

반응형

진진묘, 1970, 개인소장
진진묘는 부인 이순경 여사의 법명이다.
부인의 초상화이자 보살을 그린 것이기도 하다.

진진묘, 1970, 개인소장

그 유명한 <진진묘>다.

진진묘는 부인 이순경 여사의 법명이다.

장욱진의 첫 불교 관련 작품이라고 한다.

부인의 초상화이자 보살을 그린 것이기도 하다.

 

여인상, 1979

여인상, 1979

여인의 손모양이 불교의 수인을 연상시킨다.

 

까치, 1958,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까치, 1958

까치는 장욱진의 가장 대표적인 모티브다.

까치를 중심으로

둥근 나무가 배경이다. 

화면 끝에 작은 초승달...

유화 물감층을 날카로운 필촉으로

무수히 긁어냈다.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나무와 까치, 1961

나무와 까치, 1961

나무의 형태가 한자 '나무 목'을 닮았다.

 

해 달 산 집, 1961

해 달 산 집, 1961

 

까치집, 1977

까치집, 1977

나무 위 까치집 속에 마을이 들어있다

 

나무와 까치, 1988

나무와 까치, 1988

둥근 나무, 뚱뚱한 까치...

양주시립 장욱진 미술관 소장

 

달밤, 1988

달밤, 1988

양주시립 장욱진 미술관

 

나무와 정자, 1977

나무와 정자, 1977

 

월조, 1968
장욱진, 월조, 1968
월조, 1968, 부분 확대

월조, 1968

 

마을, 1984

마을, 1984

안정적 균형미는 있으나

대칭구도가 주는 단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소, 개, 사람의 방향을 교차로 배치하고

해와 달, 까치등의 형태와 색을 달리했다.

치밀하고 세련된 조형어법이다.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 컬렉션

 

까치, 1987

까치, 1987

모든 것이 정지된 화면에

강아지 한 마리만 걸어간다.

절대적 시간, 상대적 시간...

 

자화상, 1951
프록코트를 입은 장욱진 뒤를 검정개와 새들이 뒤따른다.

자화상, 1951

한 뼘 크기의 종이에

유화물감으로 그렸다.

프록코트를 입은 장욱진 뒤를

검정개와 새들이 뒤따른다.

 

소녀, 1939
선산의 산지기 딸이 모델이라고 한다.

소녀, 1939

선산의 산지기 딸이 모델이라고 한다.

도쿄 제국미술학교 유학 당시 그렸다.

국립현대미술관 이건희 컬렉션

 

마을, 1951, 종이에 수채물감

마을, 1951

종이에 수채물감

 

자동차 있는 풍경, 1953

자동차 있는 풍경, 1953

 

독, 1949

독, 1949

국립현대미술관

 

물고기, 1959, 국립현대

물고기, 1959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무제(윤광조 도자), 1977, 조화, 귀얄기법의 분청이다.

무제(윤광조 도자), 1977

조화, 귀얄기법의 분청이다.

 

무제 (윤광조 도자), 1977, 귀얄로 칠하고 조화기법으로 그렸다.

무제 (윤광조 도자), 1977

귀얄로 칠하고 조화기법으로 그렸다.

 

새와 아이, 1960

새와 아이, 1960

국립현대 이건희 컬렉션

 

무제, 1962, 실험적으로 시도한 장욱진의 추상화다.

무제, 1962

실험적으로 시도한 장욱진의 추상화다.

 

물고기, 1964
장욱진, 물고기, 1964

물고기, 1964

 

춤, 1964

춤, 1964

거친 질감에 

인물묘사는 암각화를 연상시킨다.

 

바위, 1960

바위, 1960

 

세그루 나무, 1987

세그루 나무, 1987

 

까치, 1986

까치, 1986

국립농업박물관 소장

 

무제, 1968

해와 달이 있고 산과 강이 보인다.

일월오봉도의 현대적 해석일까 ?

새벽녘 덕소의 풍경이라고 한다.

 

집, 1969

집, 1969

리움 미술관 소장

 

마을과 아이, 1976

마을과 아이, 1976

위아래, 하늘과 땅의 구분도 모호하다.

중간의 아이는 자유롭다.

 

진진묘 (좌상 진진묘), 1973
진진묘(1970년) 이후 3년후 제작한 작품이다.

진진묘 (좌상 진진묘), 1973

진진묘(1970년) 이후 3년 후 제작한 작품이다.

(촬영시 빛반사 때문에 살짝 측면으로 찍었다.)

 

가족도, 1972, 양주시립 (좌), 가족, 1955, 국립현대 (우)

가족도, 1972, 양주시립 (좌), 가족, 1955, 국립현대 (우)

 

가족, 1955
장욱진, 가족, 1955
1964년 일본 사업가에게 팔렸다가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극적으로 발견되었다.

가족, 1955

1964년 일본 사업가에게 팔렸다가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극적으로 발견되었다.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가족도, 1972

가족도, 1972

양주시립 미술관 소장

 

구추봉도 (혼인 앨범 표지), 1941

구추봉도 (혼인 앨범 표지), 1941

베겟모에 등장하는 자수무늬인

구추봉도를 포스터 물감으로 그렸다.

 

언덕풍경, 1986

언덕풍경, 1986

 

집, 1984

집, 1984

 

도인, 1988

도인, 1988

돌, 학, 난등 문인화적 소재가 보인다.

 

기도, 1988

기도, 1988

 

가로수, 1986

가로수, 1986

 

나룻배, 1951

나룻배, 1951

 

배와 고기, 1960

배와 고기, 1960

 

소, 1953

소, 1953

 

거목, 1954, (좌), 나무와 새, 1957 (우)

거목, 1954, (좌), 나무와 새, 1957 (우)

 

거목, 1954

거목, 1954

한솔 홀딩스 소장

 

나무와 새, 1957

나무와 새, 1957

 

수탉 (윤광조 도자), 1984

수탉 (윤광조 도자), 1984

분청 상감기법을 사용했다.

 

장욱진 작품에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까치, 나무, 해와 달, 집, 그리고 검둥개가 지니는 상징성을 잘 설명해준 전시였다. 시대별, 주제별 작품 배치는 물론, 작품 하나하나에 대한 친절하고 깊이 있는 해설도 돋보였다.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까치, 우주를 나타내는 나무, 그리고 해와 달로 상징되는 어떤 영원성이 수많은 작품 속에 계속 반복되면서도 미묘한 변주를 통해 다른 분위기와 느낌으로 다가왔다. 이번 장욱진 회고전에서 특히 인상 깊었던 점은 불교를 소재로 한 작품들을 따로 다루었다는 것이었다. 천왕문, 법당, 요사체등의 가람배치를 마치 약도처럼 그려놓은 <사찰>, 온 가족이 계곡의 냇물 위로 난 다리를 건너 절집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그린 <절 나들이> 같은 발랄하고 따뜻한 작품들이 우선 눈길을 끌었다. 반면 <팔상도>, <심우도> 같은 작품에서는 불교의 심층에 다가서려는 장욱진의 마음을 느껴볼 수 있었다. 무엇보다 압권은 역시 부인 이순경 여사를 모델로 한 <진진묘>다. 여러 번 보았지만 볼 때마다 마음에 고요한 평화와 알 수 없는 감동을 주는 작품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소위 '좌상 진진묘'라고도 하는 또 다른 <진진묘>을 실견할 수 있어서 좋았다. 국립현대미술관 관계자분들에게 감사한다. 회고전 제목 <가장 진진한 고백>처럼, 장욱진이라는 화가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정리해서 대중에게 보여준 일종의 '결정판'이라는 점에서 이 전시의 의미가 크다. 다만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있다. 워낙 작품수가 많은 탓도 있었겠지만, 전시 작품을 보는 동선에 대한 고려는 많이 부족해 보인다. 작품들을 놓치지 않고 편안하게 물 흐르듯 볼 수 있도록 전시 동선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번 전시는 그런 점에서는 실망스럽다. 더 멋진 기획으로 대중을 이끌어줄 국립현대미술관의 다음 전시를 기대하며 응원을 보낸다.

 

국립현대 미술관 전시 더 보기  

[전시 & 문화재] - <국립현대미술관> DNA: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

 

<국립현대미술관> DNA: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

DNA: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 은 덕수궁 국립현대 미술관 4개의 전시실에서 열렸다. 각 전시실마다 설정된 나름의 소주제에 맞게 전시 전반을 기획하였다. 오늘 내용은 이미 이전에 올린 2개에 이은

ellead.tistory.com

반응형

댓글